다른 사람의 작품을 보고 느낀 점을 적거나 자신의 게임을 소개하는 공간
기획 : | 5 |
---|---|
그래픽 : | 4 |
사운드 : | 5 |
완성도 : | 4 |
재미 : | 4 |
역시 초이 나오는 영화라서 봤다.
'이글라'는 러시아어로 '바늘'이라는 뜻이다.
로고에는 천연덕스럽게 옷을 꿰멜 때 쓰는 바늘이 나오지만, 사실 이 '바늘'의 의미는
주인공의 여자친구가 마약을 투약할 때 쓰는 바늘이다.
영화는 상당히 짧고 뒤죽박죽이며 불친절하다.
제대로 된 플롯보다 특유의 분위기가 더 기억에 남는다.
주인공 '모로'는 승무원에게 뻐큐를 날리고 여자친구를 다짜고짜 붙잡고 바다(였던 곳)로 여행을 가고
여자친구를 구하기 위해 악의 무리들을 물리치는 쿨가이다.
주인공이 만나는 사람인 '스파르탁'은 굉장히 난해한 인물이다.
친구인데 모로를 보면 도망가고 마피아에게 해코지를 당하지만 자기를 구해준 모로 앞에서는 허세를 부리고
마지막에는 개똥철학이 담긴 일장 연설을 늘어놓다 자살한다.
모로를 차갑게 대하지만 결국 도움을 구하다 파멸하는 주인공의 여자친구 '디나'는 조금 알기 쉽다.
영화는 소련과 공산주의 체제를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겉으로는 미국과 어깨를 하는 강대국이고, 동구권 진영의 중심이지만
사실 속은 곪을 대로 곪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이를 보여주는 장치가 마피아와 마약이고, 영화는 이로 인해 파멸해가는 사람들(스파르탁, 디나)을 보여준다.
또한 모로와 지마가 여행을 간 아랄 해는 소련이 목화를 기르기 위해 관개 작업을 했다가 메말라
결국 사막이 되어버린 곳이다.
모로는 사막이 되어버린 바다를 보고 안타까워 하고, 주변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행동한다.
그 결과 모로는 타락한 체제를 대변하는 의사에게 나름의 복수를 하는 데는 성공하지만
결국 친구와 여자친구를 구하는 데에는 실패한다.
이러한 행동들로 미루어 보면, 주인공 모로는 이 실패한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모로가 결국 주변 사람들을 구할 수 없는 것은 체제에 대한 개인의 저항이 가지는 한계를 보여준다.
마지막 장면에서, 의사에게 한 복수가 어설펐던 탓인지 모로는 자객에게 칼을 맞는다.
하지만 우리의 모로는 아무튼 쿨가이라 칼을 맞고도 아무튼 살아서 걸어간다.
그는 죽을 수 없고, 또한 죽어서는 안 되는 저항의 상징이고, 아이디어는 방탄이니까.
'레토'와 비교하면 조금 불친절하고 거칠거칠하지만, 더 깊은 맛이 있는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