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유롭게 이야기를 적는 공간

루리웹에 콘솔의 미래는 없다 by 송재경이란 글을 보고 든 생각인데요(해당 글은 링크가 안되므로 패스)

 

왜 사람들은 게임의 미래를 콘솔/PC/모바일.. 그니까 플랫폼으로 구분지을까요?

 

제 생각엔 미래 게임산업은 점차 플랫폼은 통일되어 가고, 기존과 한참 다른 현재의 소설 장르가 확립되었듯이

 

새롭게 구분지을 폼이 필요할 것 같은데..

 

또 한 백년쯤 뒤엔 상상=그대로 게임이 되면 소설, 영화, 게임의 구분도 상당히 없어질테고 적어도 소설, 영화의 구분은 사라질 것 같습니다.. 주체자가 얼마나 개입하느냐가 키가 될 것 같지.

 

그런 의미에서 말인데요.. 스팀도 있겠다, 미래엔 1인 제작 게임도 꽤 유망주 중에 하나라고 봅니다 저는..

 

극도로 제한적이고 적은.. 장점이자 단점이... 아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생략!

 

ps. 콘솔에 대하여.

 

일단 글이 길어질 것 같은데.. 저는 콘솔 시장의 미래는 어둡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콘솔과 온라인 게임이 전혀 다른 별개의 것이란 건 동의해요.

 

적어도 거의 비디오와 드라마만큼 다르지 않나 생각합니다. 단발성의 여부는 제외하고.

 

음.. 하지만 이건 접근 방향의 문제인데요.. 게임 외적으로 생각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먼저 첫번째.. 콘솔의 가장 큰 장점 2개는

 

1.개발의 플랫폼이 일괄적

 

2.비용 대비 이상적일만큼 하이엔드로 보급 우위성 독점.

 

라고 생각합니다.(콘솔 업체의 지원 등은 뺍시다. 앞으론 스팀이 강세가 될 거 같으니..)

 

하지만 제 생각에 이건.. 내적인 요소는 모두 제쳐두고 외적인 요소가 문제가 되고 있어요.

 

음.. 일단 2번은 현재에 꽤 비슷한 예시를 볼 수가 있습니다.

 

안드로이드가.. 아이폰을 추월한 것이죠.

 

물론 여기엔 마케팅이라던가, 각종 수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비디오 게임과 컴퓨터 게임의 비교에 중요한 것은 하나입니다.

 

바로 기술의 발전이 게임의 개발보다 아득히 빨라진다는 점이죠.. 그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음..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핵심만 따지면 제가 생각할 땐 비디오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흔히 슈퍼 하이엔드 PC의 보급화를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요.

 

사실 이 쯤 되면 컴퓨터랑 게임기의 경계도 불분명하고.. 지금도 사실 PSN이 주류화 되고 소장 문화가 사양길에 접어들면서 게임기..보단 게임 보조기기.. 쪽에 가까워지고 있지 않나 해요. 하이엔드와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달까..

 

음.. 뭐 이 정도로.. 그냥 1에 대해 이야기 합시다.

 

1은.. 일단 외적인 요소를 2가지로 생각해봐야 합니다.

 

먼저 수익성인데요, 간단하게 문화 '산업'이란 것은 투자대비 이익이 얼마나 크냐가 거의 핵심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콘솔은 그것에 적합하지 않죠.. 지극히 산업적인 논리지만 문화 '산업'의 접근은 심플하게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요컨대.. 다른 플랫폼의 방해 요소를 모두 제외하고서도 충분히 합리적일 만큼 개발 비용을 아낄 수 있단 것입니다.

 

그리고 또2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하이엔드가 가속화 되면 사양 문제는 뭍혀지고 플랫폼의 통일이 관건이 될 것 같아요.

 

음.. 그리고 다른 이유는 까먹었는데요.. 적어도 호환성이 좋아진다 이런 내용은 아니었는데..(이거엔 좀 찬성하지만) 쓰다보니 까먹었네요.

 

개발비용 이야기였던가? 현재 지나치게 고사양 고급 게임에 편중되었다던가.. 확실히 성장세고 시장성도 확장하고 있지만, PC..는 퇴행이고 모바일도 아타리 쇼크급이지만, 성장'률'은 좀 비관적이라거나.. 투자 대비 수익? 그런 내용이었나.. 그건 현황 시장만으로 판단하긴 좀 그렇고..

 

하여튼 전 미래에는 이런 분류 자체가 의미가 좀 퇴색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보단.. 현행 콘솔의 장르 구분을 기반으로 좀 더 새로운 분류표가 나오지 않을까.. 현재의 동인게임 같이, 그러나 동인게임과 다르게 하나의 장르로써..

 

음.. 그렇습니다. 이게 제 생각이랍니다.

 

아! 그리고 콘솔.. 비디오 게임에서 파생된 일부 기기의 미래 중엔 알만툴 비슷한 것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뭔 헛소리냐면.. 98년도 당시 RPG 메이커 98은 엄청난 혁명이었잖아요? 혁명급 그래픽에 혁명급 제작 사양..

 

자기가 만든 게임이 이왕이면 조금 고급 하이엔드에서 돌아가고, 좀 더 미려하길 바라는 욕망이 있으니.. 어쩌면 그런 방면에서 기존처럼 제작툴로 PC에 삽입되든, 아니면 그 뭐냐 닌텐도 게임 만들어보자! 처럼 뭔가콘솔 기기 안에 들어가든 말입니다..

 

이건 좀 더 투자하는 쪽이 이기겠지만 일단은 PC발이 우세하더라도 장기적으론 모른다고 봐요.

 

어째 여담이 본문보다 더 길군요..

 

ps2.앞으로 지금보다 더욱 훌륭한 어떤 미지의 '컨트롤러'라는 것이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증강현실로써? 그건 한계가 있으니 가상현실과 현재의 경계 사이에서.

 

엄청나게 편하고 조작감 좋고.. 근데 그게 무엇인지 아무도 모르고 실존할지도 모르니 개발을 안 할 수도..

 

적어도 키보드라던가 지금 게임기 컨트롤러는 아닐듯. 당분간은 사무용과 게임용이 구분되더라도, 키보드의 진화형이나 게임기의 진화형이.. 뭔가 나올 수도? 안 나올 수도. 그 만큼 적당한 편의성?이랄까 대체성과 메리트가 있다면요.

 

ps3.아.. 그리고 이거랑 별개로 PC 온라인이랑 모바일은 아타리화가 되고 있습니다.. 심각합니다.

 

이걸 생각하니 궁극의 온라인 게임이란 어떤 게임일까 생각이 드네요. 적어도 과거처럼 득실득실한 것은 그다지 내실이 없는 듯.

 

ps4.미래엔 아마 구글 플레이마켓의 환불 정책이 고착화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음..그니까 캐쉬 사면 무조건 2주 내에 자유 환불이 되게요. 지금 플레이마켓 유료앱도 환불 절차가 초 간단해진걸로 아는데, 캐쉬도 이렇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악성유저가 많더라도 감안하고.. 수술을 단행할 날이 올지도 몰라요. 물론 모바일 말고 pc도..

 

사실 캐쉬란 변칙 산업은 미래성이 상당히 떨어지는데 국가 일하는 분이 좀 안목이 떨어지는군요..

 

당장 몇개 회사 날려먹더라도 이쪽을 집중 마크해야 하는데.. 그래도 내가 하는 게임 당장 사라지면 좀 그렇고 다른 사람도 그렇겠지만..

조회 수 :
363
등록일 :
2014.01.11
05:12:15 (*.214.109.4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s://hondoom.com/zbxe/index.php?mid=free&document_srl=731566

노루발

2014.01.11
08:00:03
(*.209.149.47)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렇고 호화판 좋아하는 사람은 어디에나 있으니, 소장 문화가 사라질거라는 생각은 그리 들지 않는군요.(다만 게임이 좋아야 호화판 사는 사람도 있겠죠. 혹시 Canny the can의 실물 패키지 팔면 사실 분 있으신가요? :P)


밸브가 거실 진출을 시도하면서 새 컨트롤러나 하드웨어 같은 걸 많이 내놓는데, 하드웨어는 사실 의미가 없어보이지만 컨트롤러는 매력적이더군요. 내 컴퓨터를 거실 TV에 연결하고 컨트롤러를 연결하면 PC가 곧 콘솔이고 콘솔이 곧 PC가 된다는 그런 발상이.. 개인적으로 컴퓨터 앞에서 키보드로 게임하는것보다 소파에 앉아서 큰 화면으로 게임하는걸 더 좋아합니다.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이 대세긴 하지만 전 아직 콘솔을 좋아하는군요. 혹시 미래에 저같은 늙은이 취향의 사람들이 줄어들면 플랫폼의 통합이라는 것도 어느정도 기대해볼만 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게임이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되기보다는 나눠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PDA나 MP3등의 여러가지 기기들이 스마트폰으로 합쳐졌지만 스마트폰은 또 나름대로 태블릿 PC라던지 새로운 아종(뭔가 단어선택이 적절하지 않은 기분이 들지만)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업체들은 차별화를 위해 자꾸자꾸 변화를 줘서 새로운 걸 만들어내죠. 소비자의 수요는 다양하고, 모든 소비자의 취향을 커버할 수 있는 기기가 나오지 않는 이상은 플랫폼은 여전히 분리되어 있을 겁니다.

뭔가 거창하게 말했는데, 일단 업체는 새로운 걸 계속 만들어내지 기존의 통일된 무언가에 머물러있지는 않을 것이며 /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짬짬이 폰으로 게임하는 거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PC방에서 친구들이랑 같이 게임하는 거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방구석에서 혼자 콘솔로 게임하는 거 좋아하는 사람도 있을 테고.. 이런 다양한 니즈를 모두 포옹할 수 있는 단일된 플랫폼이 과연 존재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생각.


막상 써놓고 나니, 미래에 대해 상상하는 건 재밌지만 결국은 그냥 막연한 추측일 뿐.

추측이야 누구나 할 수 있는 거고 모두가 틀릴 수 있는 거니까 네가 옳네 내가 옳네는 별로 의미없어 보입니다.

그냥 저마다의 다른 추측을 할 뿐.

..2014년에 날아다니는 자동차 나온다고 한 사람 누구야!

ㅁㄴㅇ

2014.01.11
21:06:36
(*.214.109.119)

음.. 그니까 지금은 기능에 따라 플랫폼이 변하잖아요? 하지만 후엔 맛폰처럼 기능적 상한에 이르고 기능 통합후 꾸준한 업그레이드를 동반하면서, 그냥 모니터 용도나 크기별로 구분짓고요. 그리고 밸브처럼 거실 침입하며 연계성 증가도 있을 테고.. 아! 제 생각이지만 곧 맛폰도 컴처럼 조립식이 대세가 될 수도?

꾸잉

2014.01.12
04:42:07
(*.214.109.119)

비화가 나온 김에.. 일전에 조립식 맛폰을 생각해냈더니 다들 참신하다 했는데 그게 불과 1달전인 작년에 구글에서 개발 막바지라는 기사를 본.. 다들 참신하댔는데 아쉽네요. 특허라도 냈으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sort 최근 수정일
공지 (대피소) 혼돈과 어둠의 디스코드 노루발 103   2023-09-05 2023-09-05 16:05
공지 글 작성을 위해서는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노루발 4666   2016-02-22 2021-07-06 09:43
1243 혼둠님께 추천 게임 [3] FF 1186   2014-01-09 2014-01-11 09:20
약속의 땅 리비에라와 유그드라 유니온.. 네이버에 각각 이름이랑 한패 치면 최신(..아마도? 텍스트 블로그는 폭파된듯)버전 패치와 롬파일 다 받을 수 있답니다..   요새 안드로이드 gba로더로 돌리고 있는데.. 엄청 재밌음.   사실 전 PSP 영판 유그드라 유...  
» 미래의 게임 플랫폼..+4 [3] 퓨쳐킹 363   2014-01-11 2014-01-12 04:42
루리웹에 콘솔의 미래는 없다 by 송재경이란 글을 보고 든 생각인데요(해당 글은 링크가 안되므로 패스)   왜 사람들은 게임의 미래를 콘솔/PC/모바일.. 그니까 플랫폼으로 구분지을까요?   제 생각엔 미래 게임산업은 점차 플랫폼은 통일되어 가고, 기존과 한...  
1241 창작물의 이지툰 카테고리를 보면서. [3] 노루발 392   2014-01-13 2014-01-13 06:30
왜 요즘은 아무도 이지툰을 안 만들지. 이지툰 만드는것처럼 게임 이펙트로 넣으면 엄청 멋있을 것 같음.  
1240 제목바꾸기 일하면서 그냥 바꾸면 됩니다 [1] 마마 12316   2014-01-16 2014-01-16 08:50
자기사랑해  
1239 rpg쯔꾸르게임 추천해주세요@@@@ [2] 행인123 725   2014-01-16 2014-01-16 20:22
촛불인생 던크 데몬스폰 좀돈의기사로 100번쯤 죽었더니 정신이 혼밓ㅎㅎㅎ해지네요 재미있는 쯔꾸르 rpg게임좀 추천해주세요 어떤 타입이라도 좋스빈다  
1238 노루발님께 [3] 똥똥배 374   2014-01-18 2014-01-19 07:24
사실 개인 공작소 같은 것은 무분별하게 건설하면 문제가 될 거라고 생각해서 거절했는데, 노루발 님 경우 꾸준히 창작하고 계시니 공작소를 만드셔도 될 거 같습니다. 성향이 하나 꾸준히 만드시는 게 아니라 여러개 하시니까... 게시판 아이콘으로 쓸 이미지...  
1237 몰랐는데 창도가 망했다면서요 [3] 나는야쿨남 394   2014-01-20 2014-01-23 02:34
첫페이지엔 성인광고배너 세개랑 게시판은 에로게임 만든다는 글만 있고 하여튼 망했던데. 천무님도 잠정매니저 복귀했다가 사라지시고. 그리고 네코는 약간 10년전 창도 생각나게 하네요. 이게 만화 삼국지면.. 황국인 창도가 망하고 개인사이틀 융합한 아방...  
1236 대 출산시대 너무재밌네요 [5] file SonCeTo 374   2014-01-20 2014-01-29 01:13
 
1235 외국은 사진도 사고 파나 보네요 [2] 신비한롬 371   2014-01-22 2014-01-23 02:33
1.피피티 만들다가 안 건데요 엄청난 퀄리티의 좋은 사진 1장에 5천원~만원씩이던데.. 흠.. 한국은 어렵겠죠? 2.지금 안 건데요.. 한국어는 글씨를 봐도 그림처럼 인지하는데 외국어는 수학 공식을 보는 거 같아요. 많이 보면 이것도 그림처럼 변할 지?  
1234 캔디 잼 노루발 307   2014-01-22 2014-01-22 22:53
http://thecandyjam.com/ 캔디 크러쉬 사가의 제작사 킹닷컴에서 상표등록을 "캔디 크러쉬 사가"가 아니라 그냥 "캔디"로 냈습니다. 이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설명하는 기사: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2693 그래서 인디 제작자들...  
1233 이번 똥똥배 대회 후원금은 나름 이상적으로 모이네요. [4] 똥똥배 374   2014-01-23 2014-01-23 07:28
큰 돈을 몇명이 후원하기 보다는 2만원 후원이 주를 이뤄서 달성을 코 앞에 두고 있군요. 아직 출품작이 2개 밖에 안 되는 게 불안하지만 2월에는 몰려 나오겠죠? 아마... 홍보 가능하신 분들은 홍보해주시면 고맙겠구요.  
1232 주인장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2] 헝그리 306   2014-01-25 2014-01-26 07:19
회원가입을 하려고 하는데 제가 쓰는 이메일이 가입된 이메일이라고 나오네요. 예전에 가입했었는지 가입했다가 탈퇴를 했었는지 가입해놓고 아이디/비밀번호가 기억안나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지금 하려고 하니 이메일때문에 안되네요.   다른 이메일을 사...  
1231 지니어스 잼있다.. [1] 천재 335   2014-01-25 2014-01-25 19:14
저는 파랑이필요합니다 파랑 있으신분 있습니까?  
1230 가입을 푸니까 또 스팸 공습을 당했군요. [4] 노루발 346   2014-01-27 2014-01-27 23:20
기계와의 전쟁은 계속됩니다.  
1229 대출산시대 [2] file 헝그리 344   2014-01-29 2014-01-30 08:51
 
1228 비영리 게임도 심의를 받아야 한다네요; [8] ㅁㄴㅇㄹ 349   2014-01-29 2014-01-30 08:54
여태까지 비영리 게임은 심의를 안 받아도 되는줄 알고 열심히 만들고 있었는데...이게 무슨 일인지;; 여기 계신 분들도 괜찮을까요?ㅠㅠ지금 지켜보고 있던 동인게임들이 하나 둘 접고 있는 상황이라 참 당황스럽고 착잡하고 그러네요...  
1227 오우 문명온라인이라니 참신한데요 [5] 라라왕 513   2014-01-30 2014-01-31 09:12
MMORPG란거 보고 에이 또 대작 타이틀로 쓰레기 만들겠구나 했는데   왠걸? 주기적으로 리셋이라니.. 한 문명이 승리하면 게임이 리셋되는 MMORPG라니 나름 신박하네요.   근데 리셋될떄마다 모두 끝이면 좀 허무할텐데.. 뭔가 특전을 주는것일지?   게다가 재...  
1226 즐거운 설 보내세요. [2] 노루발 319   2014-01-31 2014-02-01 02:33
그렇습니다. 별 내용은 없습니다. 즐거운 설 보내세요.  
1225 오우 이번화 여행편 재밌네요 [4] 여행왕 339   2014-02-01 2014-02-01 22:31
제 영어회화 배우기 철학이랑 비슷하신듯 외국어는 원서로 된 외국어사전 6개월 문법 3개월 이후엔 무조건 실전이죠 하하  
1224 안녕하세요 Roam입니다. 사과와 인사를 드리러 왔습니다. [1] Roam 387   2014-02-04 2014-02-04 13:34
안녕하세요 Roam입니다. 혹시 절 기억하시나요? 아실지도 모르겠지만 전 창조도시의 친목질에 대한 원한으로 세컨드아이디로 다중이짓을 하며 그 곳의 과오를 비난하는 물의를 일으켰고, 그래서 자숙하는 의미에서 최소한 1년간 아마추어 게임제작계를 떠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