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유롭게 이야기를 적는 공간

심사위원들은 자신이 심사하고 싶은 부문을 정하고,

출품자들은 자신이 내고 싶은 부문에 내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이상적인 경우 심사위원의 부담이 부문 수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또한 출품자들은 자신있는 부문에서 다른 작품들과 진검승부를 펼칠 수 있을 거라 봅니다.


대신 문제가 있다면

1. 여러 부문에 내고 싶어하는 출품자가 있는 경우

  그래픽 부문과 스토리 부문에 동시 지원한다던가, 사운드와 재미 부문에 동시 지원 한다던가...

아니면 모든 부문에 동시 지원 한다던가 하고싶어하는 출품자가 분명히 있을 겁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냥 무시하고 1작품 1부문을 강제하던가,

다중 지원시 패널티를 주던가. (감점이라던가 상금이 줄어든다던가...)


2. 자신의 게임을 자신이 몰라서 엉뚱한(불리한) 부문에 출품하는 경우

 예컨대 스토리가 좋은 게임인데 제작자는 그래픽에 공들였다면서 그래픽 부문에 출품해가지고

스토리 부문에 냈다면 분명 상을 탈 수 있을텐데 다른 부문에 내서 상을 못 타는 경우...

이건 출품기간 내에는 출품할 부문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는 조건을 걸어야 하는데,

사람들이 댓글로 "여기 말고 다른 부문 지원하세요"라고 조언을 잘 해준다면 애로사항은 없을 것 같습니다.


3. 정말정말 잘 만든 게임

 정말 잘 만들어서 모든 부문을 석권할 만큼인 게임이 나왔다!

이건 대회의 방향에 따라 다르겠는데,

다른 작품에게도 기회를 주고 싶다면 그냥 1작품 1부문으로,

잘 만들었으면 그에 맞는 상을 주어야 한다고 보면 그냥 다중출품 가능으로...


4. 평균적인 게임

 딱히 특출난 건 없지만 딱히 나쁜 것도 없는 평작.

전체적으로 구린데 한 가지(예컨대 스토리)는 정말 잘 만든 게임.

이 둘을 붙이면 후자가 이기게 되는 시스템입니다. (부문을 잘 골랐다면)

이 경우는... 부문마다 콩(?)을 재량껏 뽑아서 붙인 다음 아차상(가제) 시상으로...

(평작 부문 만드는 것 보단 이쪽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5. 원하는 부문이 없다?

 제 게임은 기술적으로 뛰어납니다!

근데 기술부문이 없네? 망함

...이건 그냥 똥똥배님이 부문을 잘 만들어 두는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일단 요런 아이디어입니다.


조회 수 :
478
등록일 :
2012.11.22
07:10:31 (*.142.203.94)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s://hondoom.com/zbxe/index.php?mid=free&document_srl=678873

흑곰

2012.11.22
07:13:31
(*.130.137.37)

쩐다! 라고 생각했으나...

 

심사위원의 부담이 부문 수에 반비례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흑곰

2012.11.22
07:16:37
(*.130.137.37)

기존 방식에서는 게임을 1번 플레이하게 되면, 기획/스토리/UI/그래픽/기술/사운드 등 한번에 채점할 수 있죠.

이 방식에서는 게임을 1번 플레이하게 되면 한 분야밖에 채점을 못하잖아요.

그러니까 비효율.

리니

2012.11.22
16:34:36
(*.142.203.94)

중점적으로 볼 분야를 정하는 것이지, 그 분야만 평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4번 문제점 부분을 보면 다른 부분도 봐서 평작만 따로 빼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동점작품을 가리는 데도 다른 분야 점수를 쓸 수 있고요.

똥똥배

2012.11.22
07:19:00
(*.171.33.50)

저도 비슷한 거 생각해봤지만,

흑곰님 말씀대로 부문 수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차피 게임을 한 번 플레이해야 한다는 거죠.

참신함만 본다고 게임을 전부 플레이하지 않고 대충 보는 방법이란 건 없다고 봅니다.

List of Articles
공지 (대피소) 혼돈과 어둠의 디스코드
노루발
96   2023-09-05 2023-09-05 16:05
공지 글 작성을 위해서는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노루발
4660   2016-02-22 2021-07-06 0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