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유롭게 이야기를 적는 공간

인기는 없애버리고요.

제대로 평가가 안 되니까.


그럼 기존에 있는 건


시나리오, UI, 그래픽, 사운드, 재미, 참신함.


여기에 많은 분들이 원하는 기술 부문을 부활시키고,

주제 부문도 하나 넣죠.

주제를 충실히 이행한 여부.

그리고 시나리오, UI는 완성도로 통합하겠습니다.


그러면

그래픽, 사운드, 재미, 참신함, 완성도, 기술, 주제

이렇게 7부문이 되지요.


여기서 하나 더,

똥똥배 대회 원래 취지를 잘 살리기 위해 과거처럼 부문의 차등을 주려고 합니다.


그래픽, 사운드, 완성도, 기술 - 상금 Lv.1

재미, 주제 - 상금 Lv.2

참신함 - 상금 Lv.3


이런 건 어떤가요?

조회 수 :
454
등록일 :
2012.11.26
05:59:07 (*.75.34.3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s://hondoom.com/zbxe/index.php?mid=free&document_srl=679104

익명

2012.11.26
06:29:10
(*.214.109.45)

기술을 실험정신이나 장인정신으로 바꾸고, 레벨 2나 3으로 올리는 편이 좋을 것 같아요.

(3이라면 아마추어적인 정신에 좀 더 가중을 둔다는 의미인거죠. 참가로 제가 여기서 쓴 아마추어의 의미는 우리나라에서 쓰는 그런 의미 말고, 외국에서 주로 쓰는 자유분방한, 부담없는, 개인적인.. 의 느낌입니다.)

 

단순한 기술이지만 엄청난 노력이 들어간 것도 있잖아요?

 

혹은 자체적으로 어떤 제한을 두고, 그 제한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맘껏 뽑냈다면 수상을 준다던가..

(이러면 자체제한상~실험정신~장인정신상 같은 이름이 되려나?)

 

아마추어틱한 것이란 단순하면서도 엄청난 노력이 들어간 것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상금의 차등은 조금 더 토론해 볼 문제 같습니다..

똥똥배

2012.11.26
07:02:29
(*.75.34.31)

실험정신은 참신함이고, 장인정신은 완성도이죠.

그리고 노력은 사실 알 수 없는 거라서 평가가 불가능합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건 결과 뿐이죠.

익명

2012.11.26
08:27:50
(*.33.160.169)

제 생각엔 완성도랑 장인정신은 좀 다른거같아요. 완성도는 아, 이건 정말 세심하게 구현했구나지 단순 노가다 정신이 느껴지지는 않는다는 느낌이에요. 예를들어 완성도는 세밀하게 신경쓴 그림이고 제가 말하는건 딱보면 아는 도트노가다 같은 느낌이요.

흑곰

2012.11.26
11:41:50
(*.130.137.37)

익명 /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가는데, 똥똥배님 말도 또한 이해가 가는군요.

 

말씀하시는 장인정신은 완성도가 아니라 "이렇게까지 힘들게 만드는 놈이 있을줄이야"라는걸 알겠으나

그게 부문에 들어가야 하는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흑곰

2012.11.26
12:23:59
(*.130.137.37)

불현듯 긴 글을 쓰고 싶어졌습니다.

똥똥배 대회는 성장하는데 룰은 정체되었다고 하셨죠.

 

하지만 성장이란 뭘까요. 성장이 아니었죠. 정확히 말하면 홍보가 잘되어서 숨어있던 고급게임이 풀린 것 뿐이죠.

 

처음 똥똥배 대회는 얼토당토않은 게임이 상을 타기도 했죠. 왜냐하면 대회의 풀(Pool) 자체가 허접했으니까요.

하지만 중복수상제가 도입되며 허접한 게임은 상을 못타게 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11회는 텀블벅의 후원까지 받아 사람이 몰려들면서 이것이 강화되었죠.

훌륭한 게임과 허접한 게임들이 섞여 출품되었으나 고스란히 훌륭한 게임들만 상을 받았습니다. 좋은 점이죠.

이 좋은 점은 다른게 아니라 홍보에서 왔습니다.

웅덩이에 고수들이 모일수록, 후원 등으로 출품자가 많아질수록 잘되는거죠.

 

그런데 요새 룰을 개정하려는 시도를 보면 이게 대회참여도를 낮출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몇 년을 만든 게임이 훌륭할 확률이 높죠. 그래서 묵혀뒀던 게임이 나오는거고요.

그리고 역대 출품된 게임의 대부분은 똥똥배대회를 겨냥한 게임이 아니라 제작해뒀거나 제작하고 있던 게임이었습니다.

 

의도하신 바는 아닐지 몰라도 주제를 잡고, 참신함에 높은 레벨을 부여하는건 풀을 줄어들게 할거 같습니다.(강제성은 없다고 하실테지만)

결론은 사람이 줄어도 실망하지 않을거면 이렇게 해라. 뭐 이런 얘기였습니다.

똥똥배

2012.11.26
18:58:45
(*.112.180.75)

사실 줄어도 괜찮다는 생각은 하고 있지만요.


아니면 하계 대회와 동계 대회를 다르게 하는 방법이 있죠.

이번 동계대회(짝수)는 제한 공모전,

하계 대회는 자유 공모전.

r35

2012.11.26
15:00:56
(*.101.162.62)

확실히, 지금 고려하고 계시는 룰개정은 대회의 성격을 많이 바꿀거라 생각되네요

기존 대회가 신춘문예같은 느낌이었다면,

룰개정은 백일장 같은 느낌이랄까..


주제가 있는 대회만을 목표로 0 에서 시작하는건.. 

참가자들이 높은 동기를 가지지 않는다면, 어렵지 않을까 하는 걱정입니다.

기간이 짧으면 퀄리티가 떨어질테고, 기간이 길다면 포기할 확률이 늘어날테니까 말이죠.

리니

2012.11.26
17:02:41
(*.142.203.94)

시나리오와 UI부문이 결합돼서 완성도 부문이 된다는 건 뭔가 ?? 군요.

완성도는 시나리오나 UI 말고도 그래픽, 사운드 등

모든 부분이 잘 어울리고 깔끔하게 다듬어졌는지를 보기 때문에

이렇게 되면 내러티브에 대한 시상분야가 없어지는 것 같습니다.

(스토리만 좋다고 완성도 좋은 게임이냐고 하기에는 애매하기 때문에)


그리고 아마추어(인디)게임 하면 창의성을 바로 떠올릴 수도 있는데

실제로 찾아보면 창의성이 높은 게임은 그렇게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상용게임들에 비해 비율이 높은 것 같으면서도)


중복수상을 못하게 한 상태에서 참신함을 최고상으로 하면

그래픽, 사운드, 기술, 스토리 등등이 별 볼 것 없어도 특이하다는 점 만으로

남들보다 많은 상금을 받을 수 있으니 어떻게 보면 좀 날로먹는 감이 없잖아 있습니다.

(대신 재미있는 게임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더 많은 상금을 받아도 된다고 봅니다.)

똥똥배

2012.11.26
18:57:32
(*.112.180.75)

UI가 완성도로 바뀌는 거고 시나리오는 빠지는 거죠.

사실 시나리오를 평가하기가 난감한 점이 많아서요.

게임을 끝까지 플레이해야 심사가 가능한데,

계속 제기되는 것이 끝까지 플레이가 되느냐이고,

차라리 '몰입도'가 나을려나?

근데 그건 재미에 가깝고.

리니

2012.11.26
19:54:17
(*.142.203.94)

음... 사실상 스토리가 있는 게임이 거의 제출된 적이 없기도 하고...

그래도 스토리로 승부를 보는 게임이 출전되는 경우가 있다면 곤란해질 수는 있어서...

(To the moon이라던가 기타 노벨류 게임이라던가)


모든 게임을 끝까지 플레이 할 수 있는 모범 심사위원이 나타나면 정말 좋을텐데요...

하다못해 끝까지 플레이하지 않아도 게임을 꿰뚫어볼 수 있는 심사위원이라던가...

똥똥배

2012.11.26
21:28:40
(*.112.180.75)

누군가 뛰어난 사람이 심사를 해야 하는 시스템은 문제가 있습니다.

그럼 심사가 주관적으로 흘러갈 수도 있구요.


누가 심사해도 별 차질 없는 형태의 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흑곰

2012.11.26
20:49:04
(*.130.137.37)

저도 UI가 빠지는건 동의하는데

시나리오는 있었으면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최근 수정일sort
공지 (대피소) 혼돈과 어둠의 디스코드 노루발 107   2023-09-05 2023-09-05 16:05
공지 글 작성을 위해서는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노루발 4674   2016-02-22 2021-07-06 09:43
» 주제를 하나의 부문으로 만들죠. [12] 똥똥배 454   2012-11-26 2012-11-26 21:28
인기는 없애버리고요. 제대로 평가가 안 되니까. 그럼 기존에 있는 건 시나리오, UI, 그래픽, 사운드, 재미, 참신함. 여기에 많은 분들이 원하는 기술 부문을 부활시키고, 주제 부문도 하나 넣죠. 주제를 충실히 이행한 여부. 그리고 시나리오, UI는 완성도로 ...  
1584 대회에 주제를 정하시려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7] Roam 366   2012-11-27 2012-11-27 08:41
옛날엔 지금의「온음」과「반음」뿐만 아니라, 1/4음과 1/8음까지도 쓰이면서 음역의 자유로움이 지금보다 훨씬 컸습니다. 하지만 너무 넓은 음역때문에 작곡자들은 곡을 만들기도, 그것을 공유하기도 어려웠고, 그것을 연주해야 하는 연주자들은 더 큰 고통을...  
1583 1MB 게임대회는 [6] 흑곰 685   2012-11-27 2012-11-28 02:27
참가자들 실력이 될때 하는걸로.  
1582 안녕하세요. 김종석 418   2012-11-27 2012-11-27 20:26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네요..ㅎㅎ 잘보고갑니다.  
1581 제 12 회 똥똥배 대회 가안 [15] 똥똥배 335   2012-11-27 2012-11-28 18:18
기간 : 2012.12.1 ~ 2013. 4. 30 심사 : 2013. 5. 1 ~ 15 시상 및 기타 : ~ 5.30 (그리고 6월 1일부터 13회 시작...) 제한사항 : 돈&경험치 없는 게임 부문 시나리오, 그래픽, 사운드, 완성도, 재미, 기술, 참신함 (각 부문 동일한 등급) 그 외에는 11회와...  
1580 대선으로 게임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5] Roam 348   2012-11-29 2012-11-29 18:52
일정량의 선거자금으로 게임을 시작하여 주인공은 대한민국 팔도를 돌아다니며 유세로 민심을 끌어올리고, 친밀관계의 타 후보와 단일화하여 표심을 모으고 네거티브 전략으로 상대후보를 비난하고 (하지만 근거없는 무작정 네거티브는 오히려 여론에 악영향을...  
1579 세상엔 굉장한 사람이 많은듯 [1] file 익명 480   2012-11-29 2012-11-29 20:17
 
1578 c언어가 너무 어렵네요;; [5] 규라센 328   2012-12-01 2012-12-02 21:38
하.. 저도 혼둠에 게임이든 뭐든 뭔가를 만들어 올리고싶은데 힘드네요. 지금 c언어 '배열'쪽 배우고 있는데, 배열을 함수호출에 사용하는게 어렵네요 흑흑ㅜㅜ; 여러분이 존경스럽습니다.  
1577 돈과 경험치를 재정의해봅시다 [15] 흑곰 443   2012-12-02 2012-12-16 08:05
1. 돈 : 건네주고 무언가를 구할 수 있으면 돈. - 버섯 3개를 내면 갑옷을 살 수 있다 = 돈 - 적을 죽이면 점수가 100점 오르지만 이 점수를 쓸데는 없다 = 돈이 아님 2. 경험치 : (전투 등을) 경험할수록 강해진다면 경험치 - 적과 10번 싸울때마다 새 기술이...  
1576 안녕하세요 ㅋㅎㅋㅎ [1] 장펭돌 228   2012-12-05 2012-12-05 06:51
그럼 전 이만 ㅂㅂ  
1575 디배가 삐졌군 [2] 흑곰 437   2012-12-05 2012-12-06 05:34
하지만 대선토론을 보며 기분좋아졌을테니 Save.  
1574 [BGM] 아아, 아이폰5를 사고싶습니다. [5] 장펭돌 432   2012-12-06 2012-12-07 00:33
첫 스마트폰인 갤럭시U가 할부도 다 끝나가고 카톡을 들어가는데 하루종일이 걸리는데다가, 배터리를 완전충전해도 배터리 어플을 보면 90%정도로 나오네요. 더 큰 문제는... 제가 아이폰 5가 땡긴다는점 사실 전 소위말하는 앱등이는 아니지만 사람들이 너무 ...  
1573 어제 찍은 사진 file 똥똥배 377   2012-12-06 2012-12-06 16:37
 
1572 크롬 쓰세요 크롬 [2] 똥똥배 344   2012-12-06 2012-12-07 00:29
PC말고 스마트폰에도 크롬 깔고 쓰시면 혼둠에서 글 안 적히는 문제 없을 듯. 저도 아이폰용 크롬이 있다는 거 이틀 전에 알아서 깔았네요.  
1571 넥서스4 엣워드 331   2012-12-07 2012-12-07 17:07
그 말 많은 넥서스4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 30분만에 완판되었는데 그 구입자 중 한명이었습니다. 베터리 조금 빨리 다는거 외엔 좋네요... 빠름빠름하고. 예전에 쓰던게 옵큐라서 그런지... 늘 노예 약정이었는데 언락폰을 구입하니 기분이 색...  
1570 ! 그러고보니.. 이건 어떻게 된거죠? 익명 328   2012-12-08 2012-12-08 08:25
소감소개 게시판에 소개란에 프림의 금지된 사랑의 게임버전 리메이크의 리메이크의 리메이크가 올라오기로 되어 있었는데 왜 안 올라오는걸까요? 2009년 8월자라던데.. 혹시 일러스트 다른 그게 맞는건가? 일러스트가 달라서 내가 놓친건가? 만약 그게 맞다면...  
1569 요즘 볼게없군요 [2] 익명 389   2012-12-08 2012-12-13 22:04
오랜만에 갑자기 애니매이션이 보고싶어졌는데 요즘 아이들 취향은 저랑 너무 다른것같습니다.. 닷핵 세상의 저편에랑 경소회화라고.. 아주 인기없는거 하나 보고있는데.. 이거말고 별로 볼게 없습니다.. 왠지 영상물이 보고싶었는데 아쉽네요. 으으으으으음..  
1568 제가 생각하는 클래식 게임 [3] 익명 387   2012-12-08 2012-12-16 09:28
1.가능하면 세계관이 크지 않아야한다. 요즘은 뭐든지 크고 화려한걸 좋아해서 평행세계는 기본이고 판타지는 30서클이 있지않나.. 3서클이면 충분합니다. 충분히 탈인간급인거 같아요. 제 생각인데 그냥 마왕이면 충분이 킹왕짱 아닐까요? 정령이나 엘프같은...  
1567 윈도7(64bit)에서는 RPG2000 겜 몬하나요? [4] 데자와 2066   2012-12-11 2012-12-12 10:51
제곧내  
1566 공대미녀 모티브가 된 작품 똥똥배 406   2012-12-16 2012-12-16 09:37
<햇빛 사냥>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의 후속편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죠. 이 작품을 읽어본 사람이면, '아~'할 정도로 공대미녀의 내용에 대해서 이해하실 겁니다. 단순히 작품 모티브가 아니라, 나도 한번 자전적인 이야기를 써보자는 생각을 들게도 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