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유롭게 이야기를 적는 공간

옛날엔 지금의「온음」과「반음」뿐만 아니라, 1/4음과 1/8음까지도 쓰이면서 음역의 자유로움이 지금보다 훨씬 컸습니다.
하지만 너무 넓은 음역때문에 작곡자들은 곡을 만들기도, 그것을 공유하기도 어려웠고,
그것을 연주해야 하는 연주자들은 더 큰 고통을 받았죠. 듣는 이는 멜로디를 외우는 게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바흐가 총 12개의 음을 사용하는 12음계를 정리한 곡집을 발표했는데,
12음계는 비록 수학적으로 완벽한 계산은 아니었지만
작곡자, 연주자, 청중은 모두 "제약이 생겼지만 쉬워진 음악"을 짓고, 연주하고, 듣는 것에 만족했으며,
바흐 이후로 사실상 지구상의 모든 음악이 12음계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바흐는 결국 음악의 아버지가 되었죠.
이것을「평균률」이라고 부릅니다.

 

문학으로「평균률」과 비슷한 사례를 찾자면「소네트」와「칠언절구」가 있습니다.
혹시 똥똥배님께서 생각하시는「제약」이 이런 걸 뜻하시는 건가요?


 

최근에 똥똥배님께서 남기신 글 중 일부분입니다.

 

 

의외로 하나 정도 제약이 걸려있을 때 더 독창적인 게 나오게 된다고 봅니다.
과거 100KB 대회가 있었기 삭제 되었수다 같은 게임이 나왔고,
창도 10분 게임제로 인해서 악마의 안구가 나왔고,
똥똥배대회 2회에서 흥크립트로 제약을 두었을 때 진짜 10초만에 끝나는 죽음의 탑같은 게 공모되었죠.

 

 

위 게임들의 제약이 걸린 사항의 공통점은 모두「형식」상의 제약이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의도하시는 제약이란 게 바흐의 평균률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어째서 대회에「주제」를 정하시려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주제에 대한 제약은 똥똥배님께서 예를 드신 형식상의 제약이 아니라, 사상의 제약이기 때문입니다.
주제가 주어진 후에 48시간 안에 게임을 제작하는「게임잼」과 성격이 같아지는 것이죠

 

똥똥배님께서 추구하시는 똥똥배 대회의 방향이「제2의 게임잼」인가요?
아니면 삭제되었수다, 악마의 안구, 죽음의 탑처럼 형식상의 제약 속에서 게임이 나오는 걸 의도하시는 건가요?
혹은 형식과 사상 양쪽 모두의 제약을 의도하시는건가요?
이 부분을 명확히 하시고 그에 걸맞는 룰을 정하셔야 참가자들이 혼선을 빚지 않을 겁니다.

조회 수 :
366
등록일 :
2012.11.27
04:25:42 (*.192.43.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s://hondoom.com/zbxe/index.php?mid=free&document_srl=679176

똥똥배

2012.11.27
04:48:47
(*.75.34.31)

일단 저는 형식상 제한을 생각하고 있구요,

주제를 한다고 해도 완전 제한된 걸로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예를 들자면 '마을에 비밀을 가진 노인이 하나 등장한다'던가,

'틀에 박힌 클리셰 하나를 넣어라'든가,

이 주어진 과제를 어떻게 독창적으로 해석해서 게임에 반영하는지 보고 싶달까요.

개인적으론 1MB 게임대회를 하고 싶지만...

그게 그렇게 힘든걸까요...

똥똥배

2012.11.27
04:50:40
(*.75.34.31)

그리고 제목의 답을 하자면,

막연하게 게임 대회를 하는 거 보다는

아마추어들 중에서는 주제를 보고 뭔가 영감이 떠올라서 새로운 걸 만들어 낼지도 모른다는 기대 때문이죠.

사실 악마의 안구도 10분제 때문에 탄생한 거 아닌가요?


그리고 적었듯이 하계는 자유주제로 할 겁니다.

똥똥배

2012.11.27
04:53:00
(*.75.34.31)

그리고 앞에 적었지만 다시 정리하자면 또 하나는 공정성.

이미 만들어진 작품을 출품하는 경우 시간적으로 아무래도 유리할 수 밖에 없죠.
그게 아니라 주제를 공표한 시점에서 모두 같이 시작해서 기한내에 얼마나 만들어내냐를 겨루는 것도 좋지 않나요?

서로 그 제한된 상황에서 어떻게 처리해 냈는가도 궁금하고.


사실 흥크립트를 계속 만들었으면,

흥크립트를 사용한다는 룰로 계속 대회를 이어갔을 건데...

Roam

2012.11.27
05:31:12
(*.192.43.3)

말씀하신 내용은「주제」라기 보단「특정장면을 집어넣는 과제」라고 볼 수 있군요.
제가 생각한 주제설정의 결과는 "남북통일을 주제로 게임을 만들어라"
"가족간의 사랑을 주제로 게임을 만들어라" 같은 거였습니다.
그리고 악마의 안구는「10분제」라는 형식상의 제약만으로 나온 게임입니다.
주제는 제약없이 제가 자유롭게 선택한거죠.

 

사실 전 공정성의 최적안이「플레이타임 제약」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플레이타임을 1시간 정도로만 제약해도 창의적인 발상을 보여주기엔 부족함이 없는 시간이고
또한 1년 이상 개발기간이 들어간 게임의 플레이타임이 1~2시간 정도에 그치는 일은 거의 없을거라 봅니다.
그렇게 오랜 기간동안 그렇게 짧은 플레이타임의 게임을 만드는 제작자는 드물죠.
사실「RPG 만들기」제작자나 비주얼노블 제작자 말고는 1년씩이나 한 개의 게임에 매달리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그래서「특정장면을 집어넣는 과제」때문에 보통 스토리에 신경쓰지 않으시는

네모누리님같은 제작자들의 게임까지 스토리 요소를 염두하는 부담을 지게 하는 것보단
차라리 플레이타임 제약을 두면 제작기간상의 공정성은 자연히 해결이 될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 심사의 부담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겠고요.

 

스크롤형 슈팅액션이나 대전액션을 경우

제작에 손은 많이가고 플레이타임은 짧은 게임들이라, 진짜 1년넘게 제작된 게임들이 대회에 참가할 가능성이 있는데

그것들은「RPG 만들기」게임이나 비주얼노블처럼

많은 대사나「필러」요소로 쉽사리 플레이타임을 늘려먹을 수 있는게임들이 아니고

한마디로 짧은 플레이타임 안에 집약적인 노력이 들어간 게임들이기 때문에

그런 게임들이 참가하게 되면 단지 제작기간 때문에 배척하기 보다는, 일단 대회에 받을 의향을 갖는게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12회 대회엔 아직 참가의향이 없어서 현재로선 관망하는 입장을 벗어나지 않겠지만
참가자가 늘어나고 질좋은 게임이 늘어나는 건 대회가 성숙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인데
똥똥배님께서 최근에 자칫 예비 참가자들의 대회 참가의욕을 꺾을 수도 있는 이야기들을 자꾸 꺼내셔서
그게 걱정일 다름입니다.

노루발

2012.11.27
08:27:18
(*.209.137.188)

개인적으로는 리플로 제안된 하계-동계 분리 방식이 나쁘지 않은 듯 합니다.

노루발

2012.11.27
08:29:19
(*.209.137.188)

참신함, 인디성에 많은 의의를 둔 대회이므로, 발상을 잘 전환하거나 아이디어가 좋다면 1달간 만든 게임도 3년간 만든 게임을 뒤집을 수 있었으면.

온라인 게임에서도 고렙과 저렙 사냥터를 갈라놓듯, 혹은 격투기에서 체급 제한을 두듯 입문자를 보호하는 제도도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생각.

노루발

2012.11.27
08:41:32
(*.209.137.188)

백지에서 출발해서 아이디어나 발상의 전환으로 승부하는 방식도 좋아 보이고.

평소에 자기가 만든 게임을 내서 평가 받는 것도 나쁘지 않고.

하계/동계 등의 방식으로 둘을 병행해 나가면서 점차 조절해 나가는 것도 고려해 볼 만 하지 않으련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sort 최근 수정일
공지 (대피소) 혼돈과 어둠의 디스코드 노루발 98   2023-09-05 2023-09-05 16:05
공지 글 작성을 위해서는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노루발 4660   2016-02-22 2021-07-06 09:43
1582 주제를 하나의 부문으로 만들죠. [12] 똥똥배 454   2012-11-26 2012-11-26 21:28
인기는 없애버리고요. 제대로 평가가 안 되니까. 그럼 기존에 있는 건 시나리오, UI, 그래픽, 사운드, 재미, 참신함. 여기에 많은 분들이 원하는 기술 부문을 부활시키고, 주제 부문도 하나 넣죠. 주제를 충실히 이행한 여부. 그리고 시나리오, UI는 완성도로 ...  
» 대회에 주제를 정하시려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7] Roam 366   2012-11-27 2012-11-27 08:41
옛날엔 지금의「온음」과「반음」뿐만 아니라, 1/4음과 1/8음까지도 쓰이면서 음역의 자유로움이 지금보다 훨씬 컸습니다. 하지만 너무 넓은 음역때문에 작곡자들은 곡을 만들기도, 그것을 공유하기도 어려웠고, 그것을 연주해야 하는 연주자들은 더 큰 고통을...  
1580 1MB 게임대회는 [6] 흑곰 685   2012-11-27 2012-11-28 02:27
참가자들 실력이 될때 하는걸로.  
1579 안녕하세요. 김종석 418   2012-11-27 2012-11-27 20:26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네요..ㅎㅎ 잘보고갑니다.  
1578 제 12 회 똥똥배 대회 가안 [15] 똥똥배 335   2012-11-27 2012-11-28 18:18
기간 : 2012.12.1 ~ 2013. 4. 30 심사 : 2013. 5. 1 ~ 15 시상 및 기타 : ~ 5.30 (그리고 6월 1일부터 13회 시작...) 제한사항 : 돈&경험치 없는 게임 부문 시나리오, 그래픽, 사운드, 완성도, 재미, 기술, 참신함 (각 부문 동일한 등급) 그 외에는 11회와...  
1577 대선으로 게임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5] Roam 348   2012-11-29 2012-11-29 18:52
일정량의 선거자금으로 게임을 시작하여 주인공은 대한민국 팔도를 돌아다니며 유세로 민심을 끌어올리고, 친밀관계의 타 후보와 단일화하여 표심을 모으고 네거티브 전략으로 상대후보를 비난하고 (하지만 근거없는 무작정 네거티브는 오히려 여론에 악영향을...  
1576 세상엔 굉장한 사람이 많은듯 [1] file 익명 480   2012-11-29 2012-11-29 20:17
 
1575 c언어가 너무 어렵네요;; [5] 규라센 328   2012-12-01 2012-12-02 21:38
하.. 저도 혼둠에 게임이든 뭐든 뭔가를 만들어 올리고싶은데 힘드네요. 지금 c언어 '배열'쪽 배우고 있는데, 배열을 함수호출에 사용하는게 어렵네요 흑흑ㅜㅜ; 여러분이 존경스럽습니다.  
1574 돈과 경험치를 재정의해봅시다 [15] 흑곰 443   2012-12-02 2012-12-16 08:05
1. 돈 : 건네주고 무언가를 구할 수 있으면 돈. - 버섯 3개를 내면 갑옷을 살 수 있다 = 돈 - 적을 죽이면 점수가 100점 오르지만 이 점수를 쓸데는 없다 = 돈이 아님 2. 경험치 : (전투 등을) 경험할수록 강해진다면 경험치 - 적과 10번 싸울때마다 새 기술이...  
1573 안녕하세요 ㅋㅎㅋㅎ [1] 장펭돌 228   2012-12-05 2012-12-05 06:51
그럼 전 이만 ㅂㅂ  
1572 디배가 삐졌군 [2] 흑곰 437   2012-12-05 2012-12-06 05:34
하지만 대선토론을 보며 기분좋아졌을테니 Save.  
1571 [BGM] 아아, 아이폰5를 사고싶습니다. [5] 장펭돌 432   2012-12-06 2012-12-07 00:33
첫 스마트폰인 갤럭시U가 할부도 다 끝나가고 카톡을 들어가는데 하루종일이 걸리는데다가, 배터리를 완전충전해도 배터리 어플을 보면 90%정도로 나오네요. 더 큰 문제는... 제가 아이폰 5가 땡긴다는점 사실 전 소위말하는 앱등이는 아니지만 사람들이 너무 ...  
1570 어제 찍은 사진 file 똥똥배 377   2012-12-06 2012-12-06 16:37
 
1569 크롬 쓰세요 크롬 [2] 똥똥배 344   2012-12-06 2012-12-07 00:29
PC말고 스마트폰에도 크롬 깔고 쓰시면 혼둠에서 글 안 적히는 문제 없을 듯. 저도 아이폰용 크롬이 있다는 거 이틀 전에 알아서 깔았네요.  
1568 넥서스4 엣워드 331   2012-12-07 2012-12-07 17:07
그 말 많은 넥서스4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 30분만에 완판되었는데 그 구입자 중 한명이었습니다. 베터리 조금 빨리 다는거 외엔 좋네요... 빠름빠름하고. 예전에 쓰던게 옵큐라서 그런지... 늘 노예 약정이었는데 언락폰을 구입하니 기분이 색...  
1567 ! 그러고보니.. 이건 어떻게 된거죠? 익명 328   2012-12-08 2012-12-08 08:25
소감소개 게시판에 소개란에 프림의 금지된 사랑의 게임버전 리메이크의 리메이크의 리메이크가 올라오기로 되어 있었는데 왜 안 올라오는걸까요? 2009년 8월자라던데.. 혹시 일러스트 다른 그게 맞는건가? 일러스트가 달라서 내가 놓친건가? 만약 그게 맞다면...  
1566 요즘 볼게없군요 [2] 익명 389   2012-12-08 2012-12-13 22:04
오랜만에 갑자기 애니매이션이 보고싶어졌는데 요즘 아이들 취향은 저랑 너무 다른것같습니다.. 닷핵 세상의 저편에랑 경소회화라고.. 아주 인기없는거 하나 보고있는데.. 이거말고 별로 볼게 없습니다.. 왠지 영상물이 보고싶었는데 아쉽네요. 으으으으으음..  
1565 제가 생각하는 클래식 게임 [3] 익명 387   2012-12-08 2012-12-16 09:28
1.가능하면 세계관이 크지 않아야한다. 요즘은 뭐든지 크고 화려한걸 좋아해서 평행세계는 기본이고 판타지는 30서클이 있지않나.. 3서클이면 충분합니다. 충분히 탈인간급인거 같아요. 제 생각인데 그냥 마왕이면 충분이 킹왕짱 아닐까요? 정령이나 엘프같은...  
1564 윈도7(64bit)에서는 RPG2000 겜 몬하나요? [4] 데자와 2066   2012-12-11 2012-12-12 10:51
제곧내  
1563 공대미녀 모티브가 된 작품 똥똥배 406   2012-12-16 2012-12-16 09:37
<햇빛 사냥>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의 후속편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죠. 이 작품을 읽어본 사람이면, '아~'할 정도로 공대미녀의 내용에 대해서 이해하실 겁니다. 단순히 작품 모티브가 아니라, 나도 한번 자전적인 이야기를 써보자는 생각을 들게도 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