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유롭게 이야기를 적는 공간

1인 자작게임 만드는 데는

프로그래밍 실력이 좋은 것보다 그림 실력 좋은 게 훨씬 유리한 듯 합니다.

기획 실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선택하라면 닥후.

 

뭘 만들자면 툴 같은거 최대한 쓰면 되고,

프로그래밍 쪽이 앵간히 실력있는게 아니면 툴에서 구현한 것보다 잘하리라는 법도 없으니까요.

 

막상 프로그래밍 실력이 별로 중요하지 않은듯 해서 아이러니하다고 느꼈습니다.

조회 수 :
357
등록일 :
2014.11.03
03:28:56 (*.217.111.25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s://hondoom.com/zbxe/index.php?mid=free&document_srl=796763

ㄱㄹㄴㅂ

2014.11.03
04:04:44
(*.214.108.14)

1인 자작게임을 단순히 만들고 배포하는 것에만 그치면 흑곰님 답은 정답이지만, 만들어 팔아 그걸로 먹고 사는 관점에서 보면 오답입니다. 팔아 먹으려면 네임벨류와 이미지, 홍보력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 유명한 사람이 만들면 그림이 구리고 주류에서 벗어나도 잘 팔립니다. 에드워드 멕밀런이 슈퍼 미트보이로 뜨지 못한 상태에서 아이작의 구속을 내놓았다면 그게 이처럼 잘 팔렸을까요?

흑곰

2014.11.03
04:06:18
(*.217.111.253)

첫줄에 쓰셨듯이 만들고 배포하는 걸로 자족하는 아마추어 자작게임 얘기였습니다. 이 사이트도 그런 B급 게임을 지원하는 사이트이지요.

ㄱㄹㄴㅂ

2014.11.03
04:08:57
(*.214.108.14)

그렇군요. 전 돈이 좋아서요. 아무리 음악이 좋아도 아무리 노래가 좋아도 라면만 먹고는 못 살아 든든해야 노랠 하지 고기반찬 워우어~

ㄱㄹㄴㅂ

2014.11.03
04:06:55
(*.214.108.14)

중요한 건 비슷비슷한 게임 투성이인 이 바닥에서 얼마나 튀어 보이느냐. 어차피 그림 잘 그린다고 해도 데비안아트나 픽시브 보면 비슷한 사람 한트럭 나옵니다. 게임보다는 장사 수완이나 영업력이 더 중요하다 생각.

흑곰

2014.11.03
04:08:32
(*.217.111.253)

프로 세계를 논하면 좀 더 복잡한 변수들을 얘기해야 할 것 같지만, (단순히 홍보나 마케팅, 돈 넣고 돈 먹기가 아니라 제 전공인 경영학 베이스로 얘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게임산업 쪽 지식이 짧아 기권하겠습니다.

성훈

2014.11.03
04:13:44
(*.112.137.220)

저는 돈보다 꿈을 중요시합니다. 만들고싶은 게임이란 알바를하면서 크라우드펀딩등으로 돈을모와서 돈을 벌면되고


게임으로 돈을벌거더라도 게임을 만들때 돈을별려고 만드는 게임은 안만들려합니다.


게임은 게임이고 돈은 돈인데 게임을 망쳐놓는요소가 들어가면 절때 안되죠



ㄱㄹㄴㅂ

2014.11.03
04:19:08
(*.214.108.14)

그 점은 저도 동의합니다. 다만 사람마다 관점은 다를 수 있음을 참작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성훈

2014.11.03
04:28:25
(*.112.137.220)

네 알겠습니다.


ㄱㄹㄴㅂ님의 밑에 댓글을 보시니깐 돈을 벌기위한, 어느정도 유명해지기위한 게임에 대한 예기에 대해 쓰신거같은데


그런것을 저는 크게 나쁘게 생각하진않습니다. 당연히 그걸 직업으로 했다면 먹고살돈은 벌긴해야되는거고 사람마다 게임에 대한 생각이 다르니깐요


 다만 유명게임사가 돈벌려고 게임을 망쳐놓는거나 몇몇 중소회사나 일부대기업이 게임을 무작정 따라해서 내는게 안좋아보여서요


특히 앱스토어에 완전배낀 게임을 올려놓고 새로운게임인척 위대한게임인척 하면서 홍보하는게 싫어요


온라인게임도 그런게임 많지만요. 어느정도 따라했어도 있어보이는척 새로운척하지않는 게임은 뭐라하지않고 깔아서 해보고 재밌으면 응원도 하곤합니다



똥똥배

2014.11.03
06:34:50
(*.75.88.206)

일단 물건은 겉모습이 중요하니 그래픽이 중요한 건 사실이죠.

요즘은 게임 메이커도 멀티 플랫폼 지원하니 프로그래머 필요성 낮은 것도 사실이구요.


일단 게임을 잡게 만드는 건 그래픽이겠지만

계속 하게 만드는 데는 기획이 중요하겠죠.


그렇습니다. 프로그램은 그냥 에러 안 나면 최고인 겁니다.

성훈

2014.11.03
06:41:18
(*.112.137.220)

ㄷㄷㄷ

엘판소

2014.12.07
14:16:58
(*.69.227.81)

주제가 재미있어서 참여해 봅니다.


1인 개발은 꼭 해야 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지양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하고


1인 개발자에게 제일 중요한 능력치는 기획력과, 직접하든 도구를 쓰든 일단 완성력 이라고 보고.


1인 개발자로써 두 능력 중에 택1을 해야 한다면

안정적이고 싶다면 그래픽.

도전적이고 싶다면 프로그래밍 으로 봅니다.

그래픽을 택하면 시스템이 평범해지지만 완성도를 올리기 좋고.

프로그래밍을 택하면 시스템적으로 제품차별화하기 좋아지니까요.

흑곰

2015.01.10
11:58:56
(*.152.194.51)

1인 개발을 지양하는 편이 좋다 생각하시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1인 개발이 n인개발(n은 2이상)보다 더 완성될 확률이 높아요.

 

나머지 내용에 대해선 찬성합니다.

엘판소

2015.03.23
09:53:37
(*.69.227.81)

이건 조금 개인의 경험에서 나오는 의견이라 썰이 조금 필요 할것 같아요.


저는 아마추어 시절에 사람들이 트러블을 일으키는걸 겪었고

혼자 완제품을 만들 수 있는 상황이였기 때문에 혼자 편하게 자주 개발을 했답니다.

그런데 이건 좋은 선택이 아니었어요.

되돌아 보면 커뮤니케이션과 프로세스가 잘되는 팀이나 사람들을 찾아서 배워야 했던 타이밍이였습니다.


분야가  발전 할수록 프로젝트엔 더 많은 협력이 필요로 하고

협업 능력은 혼자 기를 수 없기 때문에

어릴때 부터, 좋은 프로세스, 조율 잘하는 사람들과, 되도록 많이 작업하는게 바람직 하다고 봅니다.

역으로 엉망인 경우는 피해야 겠죠.


사람의 면모가 어떤지는 순항일땐 잘 모릅니다. 평범한 사람, 능력좋고 훌륭한 사람. 그리고 스스로 조차도요.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지만

개발자에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술과 플랫폼, 유행은 계속 변하지만

사람이 사람을 대하는 방법은 계속 되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최근 수정일sort
공지 (대피소) 혼돈과 어둠의 디스코드 노루발 104   2023-09-05 2023-09-05 16:05
공지 글 작성을 위해서는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노루발 4668   2016-02-22 2021-07-06 09:43
983 똥배님 잘 지내십니까 [1] 아싸사랑 265   2014-10-14 2014-10-14 19:09
제 브라우저에서 아직도 h 를 치면 혼둠이 자동 완성됩니다. 눈에 띈김에 들렀다 갑니다. 15회 대회라니 꽤 오래 유지되고 있군요, 무시무시함을 느낍니다. 저는 스타트업 게임 개발사에서 일 합니다. 사운드 쪽으로 관심이 깊어져서 아티스트 활동도 하고 사...  
982 const int를 extern할수없나요? [2] A.미스릴 266   2014-10-15 2014-10-15 19:14
a.c 에서 const int asd = 2; 한다음에 b.c에서 extern const int asd; 하면 a.c의 int를 못찾네요. 저 두개에서 const를 빼면 잘 동작되는데 왜그런지 모르겠음...  
981 마사토끼를 부러워하는 우켈켈박사입니다 [10] file 우켈켈박사 370   2014-10-18 2014-11-05 08:05
 
980 asd님에게 똥똥배 238   2014-10-19 2014-10-19 06:52
1달 전에 악의 조직 제작에 그래픽 도와주신다고 해서 덜컥 해보자고 했는데, 정말 죄송스럽게도 진행은 어려울 거 같네요. 아직 기획도 완벽하지 못한 거 같고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은 거 같습니다. 사실 asd님께만 보내야 할 이 글을 게시판에 적는 이유는 ...  
979 피니엔진 프리뷰 트레일러가 나왔군요. [4] 노루발 270   2014-10-20 2014-10-27 21:00
http://www.youtube.com/watch?v=5FD2cSPqFLE&feature=youtu.be (사실 비주얼 노벨 쪽에는 크게 관심 없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이 나와준다는 것 자체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뭔가 좋은 제작툴이 나오면 그걸 붙잡고 만드는 사람도 생길 테고 만드는 사람...  
978 제 2회 인디게임 위캔드 참석합니다. [1] 노루발 242   2014-10-23 2014-10-27 21:02
게임잼 같은 행사던데, (당연히)프로그래밍 파트로 참여합니다. 2014-10-24(금)~2014-10-26(일)까지 참석합니다. 신나게 고생하고 오겠습니다.  
977 서버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똥똥배 256   2014-10-24 2014-10-24 10:10
과거에는 서버를 돌리기에는 비용적이나 기술적으로나 부담이 컸지만 요즘은 많이 편리해졌더군요. 특히 AWS가 매력적이라서 혼둠도 서버를 옮길까 생각 중입니다. 웹 호스팅으로 게임 서버도 못 돌리는데 지금은 아니더라도 나중에는 서버 돌리는 게임도 만들...  
976 제 2회 인디게임 위캔드 후기 [2] 노루발 331   2014-10-27 2014-10-28 01:22
안녕하십니까 노루발입니다. 이번 주말에는 제 2회 인디게임 위캔드 행사에 참석하였습니다. 저는 계기가 있어야 움직이는 게으를대로 게으른 인간이라 이런 이벤트가 있어야 움직이게 되더군요. 인디게임 위캔드가 무슨 행사냐면 게임 잼 같은 겁니다. 사람들...  
975 희망 사항 생김. [2] 노루발 236   2014-10-28 2014-10-28 03:43
겨울이 안 추운 따뜻한 나라 가서 살고 싶다. 예전에는 터키나 러시아 서남쪽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서남쪽은 요즘 우크라이나랑 분쟁 때문에 물 건너 갔군요. 물론 희망 사항이므로 뭐.. 그 쪽 가면 거기서도 불편해 하겠죠. 인간은 항상 불평하는 동물...  
974 똥똥배님께. [1] secret 노루발 1   2014-10-28 2014-10-28 03:44
비밀글입니다.  
973 혼둠상자를 라즈베리 파이로! [2] 노루발 243   2014-10-28 2014-10-29 00:48
이름이 정확히 혼둠상자인지는 잘 기억이 안 나는데 여기서 SD 카드에 게임을 넣어 실행할 수 있는 휴대용 게임기 아이디어를 본 것 같은데. 그걸 라즈베리 파이로 만든다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봤지만 이제 혼둠상자 같은 건 필요 없죠. 그 당시에는 휴대용 게...  
972 제15회 똥똥배 대회 기록 이제야 정리했네요. [1] 똥똥배 280   2014-10-29 2014-10-29 07:28
바빠서 정신없다 보니 이제야 정리 완료. 어느새 11월이고, 1달만 지나면 다시 16회 시작이군요. 이번에도 역시 산수에 약하다보니 5만원 가량 적자. 사실 흑자 내는 거 보다 적자가 좋아서 내는 거지만 5만원은 좀 많이 미스인 듯. 제가 배송 실 수 한 것도 ...  
971 포럼에 글쓰기가 창피하다. [4] 똥똥배 301   2014-10-30 2014-10-31 04:35
버그 수정 이슈에서 문제를 해결했다고 생각하고 코드를 올렸는데 착각이었고, 전혀 상관없는 코드. 결국 지우고 죄송하다고 했는데 이제 포럼에 글 적기 부끄럽군요. 틀려도 괜찮으니 다양한 의견이 교환되는 게 좋을 거 같지만 사람 심리가 그렇지 않은 듯.  
970 흑곰입니다. [3] 흑곰 370   2014-10-31 2014-12-15 03:19
잘들 지내십니까. 얼마 전에 노루도 보고, 대슬도 보며 지냈습니다. 종종 카톡방에 분란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어쨌든 잘 살고 있습니다. 요즘 네이버 블로그 열심히 하는데, 진지하고 긴 글만 올리는 곳이라 여기 밝히긴 코드가 맞지 않네요.  
969 cocos2d-x 다국어지원 가능한가요? [1] A.미스릴 268   2014-11-01 2014-11-01 23:22
안드로이드 adt 번들에서는 xml의 리소스를 쓰니까 한국어지정할필요없이 안드로이드기기가 한국어면 한국어내용으로 나오는식이었는데 cocos2d-x에선 그런거 지원안하나요?  
968 아니 요 요것은! [5] file 성훈 265   2014-11-03 2014-11-03 01:54
 
967 저희집에있는 고전시디중 일부분입니다 [1] file 성훈 270   2014-11-03 2014-11-03 02:52
 
» 어떤 분 게임 올린거 보고 느낀건데 [13] 흑곰 357   2014-11-03 2015-03-23 09:53
1인 자작게임 만드는 데는 프로그래밍 실력이 좋은 것보다 그림 실력 좋은 게 훨씬 유리한 듯 합니다. 기획 실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선택하라면 닥후.   뭘 만들자면 툴 같은거 최대한 쓰면 되고, 프로그래밍 쪽이 앵간히 실력있는게 아니면 툴에서 구현한 것...  
965 비주얼노벨, 어드벤쳐가 범람하는 이유가 [5] A.미스릴 363   2014-11-03 2014-12-07 13:33
프로그래밍을 잘해서 얻는 메리트는 남들이 구현 못하는 분야를 구현할수 있다는 겁니다. 예를들면 나는 니가 못만드는 횡스크롤게임을 만들수있어. 니가 못만드는 퍼즐게임을 만들수있어. 니가 못만드는 전략게임을 만들수있어. 그리고 겜메, 알만툴을 쓰더라...  
964 네트워크가 되는 옛날컴퓨터 추천해주실분 있나요? 저는 펜3세대라서 [4] 성훈 276   2014-11-04 2014-11-05 06:20
안녕하세요 제가 구상중인게 하나있는데 그게 옛날컴퓨터를 필요로 하는거라서 질문을 드립니다. 각 시대별 컴퓨터를 이용해서 시대의 변화를 보여줄려하는데 네트워크기 필요합니다 펜3랑 최신컴은 당연히 네트워크가되는데 그이전컴은 지금과 다른방식 다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