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신의 창작물을 자유롭게 올리는 곳

링크1 :
링크2 :
공동 작업자 :

그 날, 우리는 떠올렸다...

끝없이 시전되는 슬리프의 공포를...

풀 수 없는 빙결의 공포를...


'130 인던', 그 이름도 악명이 자자한 '르귄가문의 저택'이다.

부푼 마음으로 130 인던에 처음 들어간 내가 느낀 것은, 상태 이상이 엄청 많이 걸린다!

상태 이상에 걸리면 풀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풀릴 때 까지 모든 공격을 무방비로 맞아야 한다!

풀 수 있는 방법은 클레릭의 '큐어', 이 마저도 범위가 좁고 쿨타임이 길어서 한 번에 2명 이상의 상태이상을 풀어주는 것은 무리다.

게다가 '큐어'를 쓸 수 있는 클레릭인 내가 얼어 버리거나 잠들어 버린다면, 파티는 전멸하는 것이다.


130 인던에는 상태 이상을 거는 몬스터들이 많이 등장하여 던전의 난이도 또한 매우 높아졌다.

50 인던은 막 50렙을 단 뉴비 셋이서도 클리어가 가능했고, 90 인던과 115 인던은 던전 입구에서 대충 헬팟을 짜서 들어가도 클리어가 가능했다.

130 인던도 클리어가 불가능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파티원들이 죽는 빈도가 그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잦아졌고, 따라서 클리어에 걸리는 시간도 대폭 증가하였다.

인성이 좋은 사람들만 만났는지, 왜 나한테 힐을 안 넣어 주냐고, 너 때문에 죽었다고 나한테 말하는 사람은 없었다.


이 와중, '디스펠러'라는 것에 대한 소식을 들었다.

상태 이상을 1회 막아주고 소모되는 아이템으로, 이것이 있다면 나는 '빙결'이나 '수면' 등에 걸리지 않으며

내가 상태 이상에 걸리지 않으면 다른 파티원들의 상태 이상을 '큐어'로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판단을 한 나는 당시 600원에 거래되고 있던 디스펠러를 뭉탱이로 사서 들어갔다.


효과는 대만족!

다만, '빙결'과 '수면'이 가장 무서운 상태 이상인데, 디스펠러는 플레이에 별 체감이 없는 헥싱(자연 회복이 되지 않음)이나 영향이 미미한 '슬로우' 같은 가벼운 상태 이상에도 소모되어 정작 중요한 순간에는 별로 많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무엇보다 연막 안에 들어가면 걸리는 '최루'(공격 불능 상태가 됨)는 막아주는 대신, 연막 1틱에 디스펠러 하나가 소모되니...


던전이 어려운 만큼, 적응해 나가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파티원 포지션의 특징, 힐 까는 위치, 부활기 '리바이브'의 타이밍, 던전의 동선 숙지, 디스펠러의 사용 등등...

익숙해지니 130 인던은 더 이상 공포의 던전이 아니라 상당히 안정적으로 돌 수 있고, 오히려 졸리기까지 한 곳이 되어 버렸다.


아, 맞아. 130 인던은 악마/변이형, 판금 몬스터가 많아 팔라딘이 많이 활약할 수 있는 곳이었다.

스마이트의 신성 데미지와 턴 언데드에 마족들은 녹아내렸다. (물론 파이어볼과 플레임 그라운드, 스카이 라이너가 더 셌지만)

자동 매칭 보너스 대폭 상향 후, 자동 매치로 랜덤 조합을 짜서 들어갔을 때, 나름 딜링도 넣고 힐도 해주고 버프까지 걸어주니

"팔라님 만능이시네요" 라는 칭찬도 들은 적 있어서 기분이 좋기도 했다.

(친구한테 이 이야기를 하니 그거 이도 저도 아닌 놈이라는 비아냥이라고... 흑흑...)


무엇보다 120레벨 목걸이의 완성, '페타미온'의 제작서를 얻어서 기분 좋기도 했고.

재료로 들어가는 '미스릴 광석'과 '옵시디언'을 얻을 자신이 없어서 제삭서는 팔아 버렸지만.


130 인던은 실버를 많이 주는 곳으로 유명하여, 레벨업을 위해 여기를 많이 도는 중 꽤 많은 실버를 쌓았다.

나는 120제 둔기 '발리아'와 한손검 '벨니웁'을 맞추었기 때문에 무기에는 별 투자를 하지 않았고

방어구는 잡 판금세트와 솔플용 카프리선 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역시 투자할 일이 없었다.

쌓인 실버는 악세사리인 '헬스 스톤'에 들어가는 혈석과 '헌터 뱅글'에 들어가는 미노스 뼈를 사는 데, 그리고 '스마이트'의 공격력을 강화하는 특성을 찍는 데에 대부분의 실버를 소모하였다.


수리비와 물약 값, 그리고 스킬 사용에 필요한 소모 아이템을 사는 데에도 만만찮은 돈이 들어갔지만.


지옥의 130 인던을 거치면서 나는 플레이를 점차 터득해 나갔다.

캐릭터가 아닌 플레이어가 강해진 셈이다.

분류 :
기타
조회 수 :
265
등록일 :
2016.01.31
06:50:29 (*.47.11.198)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s://hondoom.com/zbxe/index.php?mid=create&document_srl=8072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685 게임 부동의 싸움 1차 업데이트 프랑도르 2023-01-10 7
2684 일반 로망 가득하고 무식한 DM 스타일 비트 다운 덱 [2] file 프랑도르 2023-04-08 8
2683 일반 팀작 타이틀 [1] file 프랑도르 2022-11-18 12
2682 게임 최근에 '자판기'를 주요인물로 하는 게임을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3] 프랑도르 2022-09-30 12
2681 그림 검사 다크매터 file 프랑도르 2023-04-02 13
2680 일반 이번에 새로 제작하는 <아르파르크 방위대>의 주인공 캐릭터 소개입니다. file 프랑도르 2023-02-02 14
2679 그림 다이스 포트 [1] file 프랑도르 2023-04-22 15
2678 일반 악역 남캐 file 프랑도르 2023-02-01 16
2677 일반 게임 주역으로 사용할 캐릭터입니다. file 프랑도르 2022-11-23 18
2676 게임 [히로익 미션]춤추는 NPC 프랑도르 2022-12-08 18
2675 그림 말살의 지명자 [1] file 프랑도르 2023-02-24 19
2674 일반 게임화면 크기 가지고 몇 시간 동안 씨름한 썰 [3] file 프랑도르 2022-10-05 20
2673 게임 프랑도르 사상 최초로 게임 내의 삽화 비스무리한 걸 만들게 되었습니다. [1] file 프랑도르 2022-10-01 20
2672 일반 과거에 사진으로 남겨뒀었던 3D캐릭터 [4] file 프랑도르 2022-09-19 22
2671 일반 바니걸/산타걸 file 프랑도르 2023-01-08 22
2670 일반 메이드가 된 프랑도르 [3] file 프랑도르 2023-04-23 32
2669 일반 프랑도르 리메이크 [1] file 프랑도르 2023-04-30 35
2668 게임 게임제작 근황 [1] file 프랑도르 2023-01-09 42
2667 게임 제작중인 게임 주인공의 설정아트 [4] file 프랑도르 2022-10-25 45
2666 게임 몇 개월 동안의 게임제작 근황. [5] file 프랑도르 2023-04-19 47